
과즉물탄개 논어에 가장 맨 앞에 있는 글은 잘 아시는 대로 '학이시습지 불역열호'입니다. 배우고 익히면 좋지 아니한가라는 말이죠. 이 말을 가장 앞에 배치했을 때는 가장 중요하기 때문일 겁니다. 개인적으로는 이 구절이 논어 전체를 표현하는 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. '과즉물탄개'. 역시 논어에 나오는 이 말은 잘못이 있으면 고치라는 말입니다. 잘못이 있어 고치는 것이나 배우고 익힌다는 것이나 일맥상통하는 말 같습니다. 좋은 건 배워서 익혀야 하는데 익힌다는 것은 실생활에 적용하는 수준을 말합니다. 좋은 것을 받아들여 그대로 행동하는 것입니다. 단순히 아는 것으로 끝나라는 말이 아닙니다. 학이시습지 학이시습지.. 의 습(習) 자는 새가 날기 위해 날개를 퍼덕이는 모습이라고 합니다. 날개를 퍼덕이고 뛰어내렸는..
생각 사다리
2021. 1. 7. 18:46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구스타프 슈바브
- 인종차별 주의자
- SMDR 수면영양제
- 논어
- SMDR 수면영양제 가격
- 나치 논란
- 밴 더 브로크
- 테레사 수녀
- 강점 코칭
- 김민정 화장품
- 반청
- 도라지 코로나 치료제
- 모래 물거품
- 행운
- 오드리 헵번 유언
- 조선구마사 폐지
- 도라지 효능 코로나 치료제
- 일렉산더
- 불운과 행운
- 병무능언
- SMDR 효능
- 사랑
- 도라지 코로나
- 플라티코틴 D
- 조선구마사
- 나치 마네킹
- 구스타프 슈바브의 그리스 로마 신화
- 반드시 이름을 바로 잡겠다
- 공자
- 박계옥 조선족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